24년도 주민등록 비대면 사실조사 유의사항 안내입니다.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실제거주지가 주민등록 시스템에 등록된 주소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조사입니다. 주민등록 정보 정확성 유지 및 행정 효율성 향상이 목적인데요. 매년 실시되는 조사로 23년에는 비대면 조사 마지막날에 트래픽이 몰려 결국 하루 연장하는 해프닝까지 벌어졌었습니다.
관련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📝목차
1. 주민등록 비대면 사실조사 기본정보
1-1. 세대반영기준
1-2. 조사기간
1-3. 참여방법
2. 주민등록 비대면 사실조사 유의사항
2-1. 참여대상
2-2. 참여장소
2-3. 오류 및 해결방법
2-4. 미 참여 시 불이익
1. 주민등록 비대면 사실조사 기본정보
비대면 사실조사 기본정보 안내입니다.
| 세대정보 반영 기준
세대정보는 24년 7월 22일 00시 기준으로 추출되었습니다. 해당시각 이후 전입 또는 세대구성 등 변경정보는 반영되지 않습니다. 예를 들어 7월 23일 이후 이사를 갔다면, 거주지정보에는 현주소가 아닌 직전 주소가 나와 있습니다.
| 조사기간
7월 22일부터 8월 26일까지입니다. 비대면 조사를 진행하지 않은 경우, 8월 26일 이후 세대조사원(이·통장 등)이 세대로 직접 방문해서 조사합니다.
| 참여방법
정부24 모바일 앱에서만 진행할 수 있습니다. 정부 24 PC사이트는 불가하니 반드시 앱을 설치해야 합니다.
2. 주민등록 비대면 사실조사 유의사항
사실조사 유의사항입니다.
| 누가 참여해야 하나요?
등본상 기재되어 있는 세대주 또는 세대원 중 한 명만 참여하면 됩니다.
| 어디에서 참여해야 하나요?
휴대폰 GPS 기능을 이용하여 등본상 주소지 정보와 현재 살고 있는 주소지의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. 따라서 조사에 참여하실 때는 반드시 주민등록상 주소지, 집에서 진행하셔야 합니다.
| 집에서 참여하는 데도 위치 오류가 뜨면?
제가 그랬습니다. 분명 집에서 진행하는데도 정확한 주소를 인식하지 못했습니다. 대단지 아파트의 경우 GPS인식률이 낮아 그럴 수 있다는데요. 해결방법은 정문이나 후문기준 반경 50m 내, 또는 단지 내 중앙으로 직접 이동해서 재시도하는 것입니다. 유의사항에 따라 실제 밖으로 나가서 진행했더니 바로 확인되었습니다.
퇴근길에 집 들어가기 전 조사 참여하는 게 가장 낫습니다. 혹 GPS오류로 계속 인식이 되지 않는다면, 실제와 다름으로 체크한 후 26일 이후 진행되는 방문조사에 참하면 됩니다.
| 거주지정보와 위치정보가 실제 다른 경우는?
'실제와 다름'으로 표기한 후, 26일 이후 진행되는 방문조사에 참여하시면 됩니다.
| 주민등록 사실조사 미참여 시 불이익은?
주민등록 사실조사 미참여시 받는 불이익은 아래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주민등록 사실조사 안 하면 생기는 불이익, 과태료 얼마?